본문 바로가기
MBTI

[N vs S] 직관형 vs 감각형 : 특징과 기준 알아보기

by 허니버터맘 2023. 8. 7.

MBTI 성격 검사는 나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지만, 모든 사람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. 앞서 쓴 글을 참고하시어 이 한계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편견으로 바라보지 않고, 유익하게 또 즐겁게 이 성격 도구를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.😊

MBTI가 도대체 뭐예요? 믿을 수 있는 건가요?

 


 

MBTI의 두번째 기준! N과 S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
개인적으로는 제일 어려운 구분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.

이 기준은 '개인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'이라고 얘기되고는 하는데요,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를 살펴보고,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 지 대처방법을 생각해 보면 조금 더 쉬운 접근이 가능 한 것 같습니다.😊

N(Intuition) 은 직관적인 성향을 의미하는데요, 패턴, 연결성,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을 가지는 성향입니다.

S(Sensing) 는 감각형 성향으로 현실적인 세부 사실과 실제 경험에 주목하는 경향이 있습니다. 

 

 

 

그럼 이제 N과 S를 구별하는 기준들을 살펴볼까요?😊

1. 추상적인 개념 vs 현실적인 개념

직관형(N)

  • 개념적인 아이디어와 추상적인 개념에 큰 흥미를 느낍니다.
  •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유추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.
  • 여러 가지 관점을 고려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 냅니다.


감각형(S)

  • 현실 세계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제 경험이 중요합니다.
  •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정을 내릴 때 실제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.
  • 구체적인 상황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문제를 분석하는 것을 선호합니다.

 

[질문해 보세요]

  • 영화를 볼 때, 메시지와 의미가 중요한가요, 아니면 사건에 더 관심이 가나요?
  • 회사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려고 합니다. 아이디어의 혁신성과 가능성을 파악해 보시나요, 아니면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을 먼저 고려하시나요?

 

 

 

 

2. 미래 지향 vs 현재 지향

직관형(N)

  • 미래에 어떤 가능성이 열릴지 예측하는 것을 선호합니다.
  • 현재의 세부 사항뿐만 아니라 큰 그림과 비전을 생각합니다.
  •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생각하는 데 노력합니다.


감각형(S)

  • 현재의 경험과 사실에 주목하는 경향이 있습니다.
  • 실제로 행동하는 것과 실질적인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능숙합니다.

 

[질문해 보세요]

  • 새로운 일을 시작하려고 합니다. 그 일의 비전이 더 중요한가요, 아니면 현재의 필요와 상황이 더 중요한가요?
  • 여행을 하고 있습니다. 지금 당장 마주하고 있는 상황을 즐기는 것과, 다음 계획에 대한 생각과 준비 중 어떤 것에 더 집중이 되나요?

 

 

 

3. 패턴 및 연결성 vs 세부사항

직관형(N)

  • 복잡한 패턴과 관계성을 파악하고 이해하는 것을 좋아합니다.
  • 여러 가지 정보나 아이디어 사이의 연결점을 찾아내 큰 그림을 이해하려고 합니다.
  • 일상적인 세부 사항보다는 문제나 상황의 추상적인 측면에 주목합니다.

 

감각형(S)

  •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실제로 경험한 것을 기반으로 인식합니다.
  • 세부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합니다.
  • 현실 세계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해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.

 

[질문해 보세요]

  •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눌 때, 여러 사람의 이야기에서 공통적인 주제를 발견하려 하시나요, 아니면 각 이야기의 내용에 주로 관심을 가지시나요?
  • 문제가 생겼을 때 먼저 큰 맥락을 파악하고 전체적인 방향성을 정하는 것이 중요한가요, 아니면 세부적인 문제와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 더 신경을 쓰시나요?

 

 

 

 

4. 은유적 사고 vs 현실적 사고

직관형(N)

  • 비유와 은유를 사용해서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능숙합니다.
  • 추상적인 개념 사이의 관련성을 파악하고 이해하는 능력이 뛰어납니다.
  • 실제 경험이 아닌 비유적인 개념으로 상황을 해석합니다.


감각형(S)

  • 과거의 실제 사례나 경험을 바탕으로 문제를 해결하고 의사 결정을 내립니다.
  • 현실적인 경험을 토대로 효과적인 대처 방식을 찾아냅니다.
  • 비유나 추상적인 개념보다는 실제 경험과 데이터를 중심으로 사고합니다.

 

[질문해 보세요]

  • 새로운 도시를 여행하게 되었습니다. 이곳의 건물과 거리를 보고 도시에 대한 어떤 이야기가 떠오를까요? 아니면 현실적인 관점에서 이 도시의 문화와 특징을 생각해 보게 되나요?
  • 읽은 책의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려고 합니다. 책 속에서 드러나는 비유와 의미를 전달하려고 하나요? 아니면 책의 사건들을 상대방에게 이해시키려고 하나요?

 

 

 

5. 목소리 vs 가사

저(N)와 남편(S)이 분명하게 갈리는 내용이라, 기준에 추가해보면 재밌을 것 같아요.😊

 

직관형(N)

  • 노래 가사의 단어와 문장의 깊은 의미와 상징적인 의미를 추구합니다.
  • 노래에 담긴 은유와 비유를 해석하려 합니다.
  • 가사의 단어와 문장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.


감각형(S)

  • 노래의 목소리 톤, 음조, 발음 등 음성의 특징에 주목하게 됩니다.
  • 목소리와 음조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분석하며, 청각적인 감각을 토대로 상대방의 감정을 이해하려 합니다.

 

 


 

 

오늘은 MBTI에서 가장 헷갈리는 N과 S를 살펴보았습니다!

내가 N인지 S인지 헷갈리신다면, 위에 나온 내용과 질문들을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!

저와 남편은 딱 이 두가지가 서로 달라서, 엄청 공감하면서 글을 작성했습니다.😂

 

물론 N인 저도,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이나, 실천 방안이 중요할 때도 굉장히 많습니다!

이 MBTI 구분은 절대적이거나 이분법적으로 생각하시면 역효과라는 점~

꼭 기억해주세요!🤗